티스토리 뷰

목차



    서론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2019년에 개봉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특히 '대한민국'의 사람들에게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해 준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평범한 한국 여성의 일상과 그 속에서 보이게 되는 성차별적인 현실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감독 김도영과 배우 정유미, 공유가 주연을 맡아 더욱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이 리뷰에서는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줄거리 및 기억에 남는 장면에 대해 리뷰해 보겠습니다.

    줄거리

    1982년 봄에 태어나 누군가의 딸이자 아내, 동료이자 엄마로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지영’(정유미)이 있습니다. 때론 어딘가 갇힌 듯 답답한 느낌이 들 때가 많지만, 남편 ‘대현’(공유)과 사랑스러운 딸, 그리고 자주 만나지 못해도 항상 든든한 가족들이 ‘지영’에겐 삶의 활력소로 자리 잡고 그것 때문에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말하는 ‘지영’, ‘대현’은 아내가 상처 입을까 두려워 그 사실을 털어놓지 못하고 ‘지영’은 이런 ‘대현’에게 언제나 “괜찮다”라며 웃어 보이기만 하는데요.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대놓고 말하지 못했던 '대한민국'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기억에 남는 장면

    기억에 남는 장면: 지영의 어린 시절

    영화는 김지영의 어린 시절부터 보여줍니다. 특히, 그 시절 '남아선호사상'에서의 학교에서 남학생들에게 우선순위를 내주어야 했던 장면은 은근히 많은 공감대를 이뤄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장면에서 우리는 김지영이 처음으로 사회적 성별 역할에 의문을 품기 시작한 순간을 관객들에게 보이게 됩니다. 이 장면은 단순히 어린 시절의 에피소드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성차별이라는 걸 생각하게 되는 개인의 정체성에 깊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억에 남는 장면: 결혼 후

    김지영이 결혼하고 아이를 낳은 후의 삶은 여성이 겪는 또 다른 형태의 성차별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특히 기억에 남는 장면은 출산 후 직장으로 복귀한 김지영이 직장과 육아의 이중적으로 부담을 겪는 모습입니다. 이 장면에서는 사회적 기대와 개인의 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는 여자의 모습이 잘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자신의 커리어를 지키고 싶지만, 육아를 해야 하는 김지영은 자신의 역할을 완벽하게 하고 싶어서 최선을 다하지만, 끊임없이 주변으로부터 평가받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잃어가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기억에 남는 장면: 김지영의 변화

    영화의 후반부, 김지영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변화하기 시작하는 장면은 많은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자신의 이름을 되찾는 장면은 영화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김지영은 자신이 단지 누군가의 딸,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엄마라고 불리지 않고 '김지영'이라고 불리길 원한다는 것입니다.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이 장면은 여성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면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기억에 남는 장면: 카페에서의 비아냥

    점심시간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한 잔을 사는데, 아이 때문에 커피를 쏟게 되는 장면에서 회사원들로부터 '맘충'이라는 비아냥을 듣게 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장면은 누군가는 이렇게 생각 한 것 같습니다. 남자는 힘들게 회사에 가고, 엄마는 아이와 한가롭게 카페에서 '논다'라고 맘충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었는데, 엄마와 아이는 그들만의 삶이 있고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대해는 자기 자신밖에 모르는데 지나가다 마주친 모르는 사람이 행하는 행위들은 분명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장면이었지만, 이것이야 말로 전형적인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이 사회는 이상하게도 당연하게 비아냥 거리는 사회가 돼있는 거 같아서 생각이 많아지게 하는 장면이었습니다.

    결론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단순히 한 여성의 삶을 그린 영화를 넘어, '대한민국'사회의 문제점을 꼬집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원작 소설 때문에 이 영화가 개봉 전에도 페미니즘이 너무 강한 영화라고 아무 이유 없이 욕먹고 질타받았다는 내용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영화는 보기 전까진 모르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저는 원작을 보지 않았어서 아무 편견 없이 영화를 관람했던 기억이 납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 이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분명 '여자영화'가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저 대한민국의 21세기의 현 상황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서 영화라기엔 너무 현실적인, 그래서 더욱 답답한, 그래서 더욱 마음 아픈 영화라고 생각했습니다.